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 모스비 엘스비어 널싱스키 흉관 삽입 보조 문제 및 정답입니다.
문제 순서는 동일하나 답변은 랜덤으로 바뀌니 아래 내용 꼼꼼히 확인하시고 통과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문제 및 정답
◎자동차 사고로 핸들에 가슴을 부딪혀서 흉부 손상을 입은 대상자가 기관내 삽관을 하는 중에 갑자기 저혈압을 보이면서 산소호화도가 떨어졌다. 청진 시 우측 호흡음은 소실, 좌측 호흡은은 감소되어 있었다. 또한 기관 편위가 좌측으로 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. 가장 적절한 중재는?
처방에 따라 즉시 흉부 방사선 촬영 및 흉관 삽입 준비를 한다.
◎쇄골하정맥으로 중심정맥관을 삽입하는 중, 대상자가 매우 불안해하면서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다. 흉부 청진을 통해 간호사는 우측 호흡음이 감소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. 이러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원인은?
우측 개방성 기흉
◎외상으로 인해 간 열상(liver laceratiom)이 있는 대상자에게 수액 투역을 했음에도 계속 저혈압과 저혈량 상태를 보이고 있다.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왼쪽에 심각한 혈흉이 확인되었다. 혈액검사에서는 INR 3.5, Hematocfit 19%이다.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조치는?
왼쪽에 흉관을 삽입하여 혈흉을 제거하여 폐확장을 돕는다.
◎기흉이 있는 대상자의 배액병을 사정하던 중, 간호사는 밀봉병의 물기둥이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관찰하였다. 적절한 중재는?
호흡 시 물기둥의 움직임은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결과라고 기록한다.
◎기흉 치료를 위해 흉관을 삽입한 대상자가 호흡 시 삽입된 부위에서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. 배액관에서는 배액물이 흘러나오지 않고, 물기둥의 움직임이 없는 것이 관찰되었다. 간호사는 배액병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 보았으나 문제 원인을 찾지 못했다. 다음 중 간호사가 취해야 할 가장 적절한 조치는?
의사에게 알린다.
◎교통 사고 후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가 응글실에 실려왔다. 혈흉(hemthorax)이 확인되어 치료를 위해 흉관을 삽입할 예정이다. 대상자에게 취해주어야 할 체위는?
세미 파울러 체위
◎간호가사 흉관 삽입 시술을 보조하고 있다. 간호사가 손위생을 실시한 후에 다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?
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지표 (예:생년월일, 등록번호 등)로 대상자를 확인한다.
◎의사가 대상자에게 직경이 큰 흉관(large-bore chest tube, LBCT)을 삽입했다. 흉관 삽입 부위를 봉한한 후에 시행해야 할 드레싱 유형은?
폐쇄 드레싱
◎흉관을 흉막강으로 삽입하는 것을 간호사가 보조하고 있다. 흉관 삽입 후에 배액병에서 물기둥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관찰했다. 간호사는 의사가 다음 중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는가?
흉관을 흉벽에 봉합하여 고정시킨다.
◎흉관 삽입을 하는 생리학적인 목적은?
흉막강의 음압 회복